본문 바로가기
용감한 그리기/05_기본 연습

사과 소묘 연습

by feliz_song 2021. 5. 19.
반응형

사진을 보고 사과를 그려보고 있습니다.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혼자 한다는 점이 무척 뿌듯해요.

 

마음에 드는 사과 사진을 인터넷에서 고른 뒤 캡쳐 하고, 

그걸 흑백사진으로 바꾸면 보고 그릴 수 있는 견본이 됩니다.

 

사과는 구입니다.

하지만 자연물이기 때문에 선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 저 생긴 대로의 굴곡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꼭지를 중심으로 퍼지는 결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둘을 잘 살려주는 게 중요할 것 같았습니다.

 

저는 일단 사과 형태를 잘 잡아보고 싶었고,

연필 선을 잘 조절해서 사과가 덩어리로 느껴질 수 있게 하고도 싶었습니다.

양감(量感)이라는 거, 좀 어떻게 해보고 싶었던 거에요. ㅎㅎㅎ

 

처음에는 제가 그린 형태에 신뢰가 가지 않았습니다.뭔가 '분명히' 틀렸을 거라고 생각했어요.시작한 지 10분도 되지 않아 그만 둘까 하는 마음이 불끈 올라왔습니다.

동시에 제 마음의 중심에서 

일단 시작해서 연필을 놓지만 않으면 어떻게든 뭐가 완성될 것이다 라는

단호하고 확신어린 목소리도 들리더군요. 

뭐, 그렇다면 해보는 거죠. 고고. 

 

한 시간 정도 연필을 들고 종이와 씨름하다 보니

주먹밥 같았던 형태가 약간 과일 비스무리해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멀리서 보면요. ㅋ

 

사진에서 미세한 다른 톤들을 발견하고 

구석구석 제가 할 수 있는 만큼 매만져주기 시작했습니다.

숨은 면들을 찾아주면서 곳곳의 크고 작은 덩어리들이 조금씩 드러나는 것 같았어요.

호기심을 갖고 할 수 있는 만큼 해보자 싶으니까

처음에 비해 조금은 더 보이는 것 같더군요. 

 

그렇게 다시 쓱쓱- 하며 그리고 닦고 그리고 닦고 하다보니 

이번에는 여기까지 해볼 수 있었습니다.  ㅋㅋ

첫 번째 사과 소묘
두 번째 사과 소묘🍎 

 

이번에 연필로 사과 소묘를 해보면서 

저는 이 작업이 마음을 읽어주는 과정과 참 많이 닮아있다고 느꼈습니다.

큰 형태는 제가 잘 느끼고 알아 차리는 감정을,

덩어리 안에 나눠진 면들을 찾아 연필선을 올려주는 작업은

강한 감정들 사이에서 제게 이름 불려주기를 간절히 바라는

여러 숨은 감정들을 찾는 과정과 참 비슷했어요.

 

양감을 올려는 과정 없이는 사과 덩어리가 온전해지지 못하는 것 처럼 

내 안의 여러 감정을 찾아 알아주지 못하면 내 마음 또한 온전해지지 못하는 것 같아요. 

긍정이든, 부정이든 감정들은 내 마음의 밖과 안을 풍성하고, 풍요롭게 해줍니다. 

나는 생기있게, 삶은 다채롭게 경험 할 수 있게 해주죠.

 

쉽게 되는 일은 아니라 저도 계속 노력하고 연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일도 한 개 더 그려보려고요. 

사과 🍎 

^^ 

반응형

'용감한 그리기 > 05_기본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채화 물감 연습  (0)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