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감한 그리기/01_새와 동물들

[소묘/ 새 그리기] 참새_길을 잃었을 때

by feliz_song 2021. 1. 25.
반응형

실물보고 그리기 보다는 이미 그려진 것들을 보고 따라 그리며 연습하고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참새 연필 소묘 그림을 주셨는데, 보자마자 너무 정교해서 엄두가 나지 않았어요. 일단 덩어리 느낌이 날 수 있게끔 고민해서 그려보자고 말씀 주셔서 그러겠다고 하고 숙제로 그림을 받아 왔습니다.

 

 

첫 번째로 형태 떠보기 / 눈을 가늘게~~ 뜨고 밝은 곳과 어두운 곳들을 나눠서 칠해보기 

 

일단 뭐 대충 형태를 잡아봤습니다. 이렇게, 저렇게. 전체 모양을 잡고 난 다음에 팁으로 알려준 것 처럼, 눈을 가늘~게 뜨고 어두운 곳들은 쓱쓱, 연필로 색을 올려 밝고 어두운 곳들을 나눠 보았지요. 그런데 이렇게만 하는 건 좀 아닌 것 같아서, 인터넷에 소묘, 양감, 새 등의 주제어를 넣고 검색하기 시작했습니다. 누군가가 독수리를 그리기 전, 형태를 면으로 나누어 연습하는 블로그 페이지를 찾을 수 있었는데, 그걸 보고 대충 따라 연습을 해봤습니다. 음... 이런 식으로 형태를 면으로 나누라는 건가? 

 

 

그 분이 독수리를 그리셨는데, 이런 식으로 면들을 나눠서 색을 칠해 놓으셨더라고요. 보고 잠시 따라해봤습니다. 

 

 

그리고 나서 먼저 그려봤던 형태를 과감히 포기하고 두 번째 형태를 뜨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먼저 한거나, 나중에 한거나 큰 차이는 없었어요. 다만 마음을 좀 새롭게 잡아서 시작해보자는 의미? 정도 였지요. 그런 다음에는 디테일한 묘사는 뒤로하고 나름대로 면을 좀 나눠서 색들을 약하게 여러 번 올려보자 했습니다. 한 번 집중해서 그려 본 뒤에 책상위에 두고 왔다갔다 하다가, 좀 더 하고 싶으면 또 칠해보고, 그러다 다른 일을 하고 또 해보고... 그렇게 시간을 보냈죠. 

 

 

깃털들을 조금 구분해주고, 이렇게 저렇게 이렇게 저렇게... 그런데 외곽선이 부자연스럽죠? 

 

 

그렇게 완성된 새는, 그래도 제 노력과 성의가 보이는 무언가가 되어 갔습니다. 하지만 오며가며 너무 여러번 색을 올린 나머지 로보트 같고 이상해 보였어요. 흠... 그렇다면 이제 칠하는 건 멈춰보고 지우개로 하얗게 보이는 부분을 지워볼까나? 쓱쓱 밝은 부분들, 경계에 너무 연필선이 몰려있다 싶은 부분들을 지워내기 시작했어요. 그렇게 비워내니까, 응? 조금 더 비슷해지네? 오호!

 

 

지우니까 조금 비슷해지는? 채워주는 것 만큼, 비워주는 것도 중요한 듯!

 

홀로 일궈 본 이 정도의 성취만으로도 뿌듯했습니다. 이 그림을 화실에 가지고 가니 조금 형태가 다르기는 하지만 새로 보기에는 무리가 없고 이 정도면 열심히 잘했다고 격려를 받았어요. 좋았어!

저는 더 깊이 들어가고 싶었습니다. 할 수있는 한 이 그림의 끝까지 가보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은 어떻게 해야하죠? 도무지 뭘 어떻게 건드려야 그 다음으로 가는 지 혼자서는 알 수 없었고요. 

 

멀리서 그림을 보시던 선생님은, 날개 아랫쪽에 면을 잡아보자고 제안해주셨습니다. 어느 부분인지 얘기를 듣고 시키는 데로 한 번 해봤는데, 약간 날개 깃털의 다른 부분 부분이 약간 표시 나는 것이 느껴졌어요. 그런데 그 다음은? 다시 물어봤습니다. 뭘 어떻게 해야하나요? 거기 면을 잡은 부분의 깃털을 하나하나씩 다 찾아서 그려주세요. 네? 이걸 다 해보라고요? 끝까지 그려본다고 했어도 솔직히 털 하나하나까지 잡아 낼 자신은 없었는데 그걸 하라고 하니까 숨이 확 막혀오는 것 같았어요. 그래도 되니깐 해보라는 거겠지? 저를 믿기는 어려웠지만, 그림을 많이 그려본 분이 제안하시는 거니까 되는 거겠지? 2B 연필 있나요? 뾰족하게 자주 깎아가며 해야해요. 살살 날개를 찾아서 명암을 이렇게... 간단한 시범을 보고 난 뒤에 약간 감이 왔어요. 그래서 하나씩, 하나씩, 서로 겹쳐져 있는 깃털들을 하나하나 헤어려 찾아 그려나가기 시작했습니다. 눈으로 그리다 보면 어디를 그리는 지 나 자신도 헷깔려서 손가락으로 더듬더듬 찾아 가며 그렸어요. 형태를 조금 다르게 그려서 똑같게 하기는 어려웠지만 제가 펼쳐 놓은 판 속에서 할 수 있는 만큼 집중하며 그려보았습니다. 어라? 되네? 신기했습니다. 선생님께서 샤프처럼 꺼내쓰는 얇고 질긴 지우개를 주시면서, 이제부터는 이걸로 이제 지워나가면서 그려봐요 라고 다시 제안해주셔서 연필과 지우개를 들고 그리고 지우고 또 그렸어요. 조금씩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을 잡아 가면서 한 껏 몰입하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화실에 가서 겹겹이 쌓인 날개 하나하나를 찾아줄 수 있었습니다. 여전히 눈, 부리, 다리는 미완성

 

 

그림은 완성되지 않았지만 화실에서의 흐름을 집에서도 계속 이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이건 더 진하게 해보자. 응? 좀 아닌가? 그럼 이쪽을 조금 지워서 한 번 보고... 이쪽을 칠해볼까? 부리와 눈을 살아있게 보이려면 어떻게 해야하지? 칠하고 보고 칠하고 지우고 또 보고. 좋았어. 이제 다리만 남았네. 응? 잡아 놓은 다리 위치랑 형태가 틀렸구나. 계속 안보이다가 왜 지금 보이지? 그럼 다 지워보자. 다시.. 아 왜 마지막이 되어서 이렇게 잘 안되지? 그래도 쓱쓱... 쓱쓱. 좀 비슷한가? 아까 보단 낫네. 쓱쓱쓱쓱쓱쓱쓱.....

 

검은 지우개 가루가 먼지처럼 뽀얗게 탁자 위에 넓게 흩뿌려져 가던 어느 순간.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만큼은 해냈다 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짠!

 

 

그동안 너를 만나고 싶었단다. 안녕? 참새! 

 

하하하.

 

뼈를 갈아 넣은 참새가 완성되었습니다. 끼야! ^^

 

더 가고 싶은 데 어디로 가야할지 그 다음이 보이지 않을 때, 여러 번 같은 길을 걸어 본 사람의 제안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부족한 자기 확신을 잠시 접어 두고 일단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힘이 되더군요. 혼자서 전전긍긍 하기 보다 지금 상태를 인정하고 '모르겠어요, 그 다음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라고 물어보는 정직한 행동 한 번이 여정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는, 참새 만큼이나 친근하고 평범한 사실을 다시 깨닫습니다. 물론 내가 설정한 목적지까지 꼭 도착하고 싶다는, 야무진 소망도 함께 해야겠죠. 😊 

반응형